항공안전2 진에어 LJ371편, 이륙 후 엔진 이상 감지… 김해공항 긴급 회항 2025년 2월 25일 오전 8시 39분,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일본 오키나와 나하공항으로 출발한 진에어 LJ371편 항공기가 이륙 후 1시간 17분 만에 긴급 회항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.해당 항공기는 승객들의 안전을 고려해 거제도 상공에서 연료를 소모한 후 김해공항에 무사히 착륙했으며, 다행히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. 🚨 승객 증언 – “엔진 쪽에서 폭발음이 여러 차례 들렸다” 긴급 회항한 항공기에 탑승했던 일부 승객들은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증언했습니다.🗣️ 승객 A씨:"이륙하자마자 ‘펑펑’ 하는 소리가 들렸고, 기체가 순간적으로 흔들렸어요. 주변 승객들도 서로 불안한 표정을 지으며 웅성거렸습니다."🗣️ 승객 B씨:"창밖을 봤는데 날개 쪽에서 불꽃이 튀는 걸 봤어요. 심장.. 2025. 2. 25.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: 콘크리트 둔덕의 역할과 논란 2024년 12월 29일,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로 탑승객 175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일어났습니다. 이번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것은 활주로 끝단에 위치한 콘크리트 둔덕입니다. 이 글에서는 해당 콘크리트 둔덕의 설치 배경, 사고에서의 역할, 그리고 이를 둘러싼 논란과 향후 대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콘크리트 둔덕의 설치 배경과 구조 무안국제공항의 활주로 끝단에는 항공기의 착륙을 유도하는 **로컬라이저(Localizer)**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 이 로컬라이저는 높이 약 2m의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위치해 있으며, 겉은 흙으로 덮여 있어 외관상 둔덕처럼 보입니다. 그러나 내부는 단단한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어 충돌 시 큰 피해를 유발할.. 2025. 1. 17. 이전 1 다음